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감정 표현 어려운 아이, 어떻게 도와줄까? – 마음을 열게 만드는 5가지 접근법

by 마마리본 2025. 4. 12.
728x90
반응형

 

아이의 마음을 알고 싶은데,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조용히 있는 모습에 답답함을 느껴본 적 있을 것이다. 일부 아이는 말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고,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도 스스로 잘 알지 못한다. 특히 내성적이거나 부모와의 정서적 소통 경험이 부족한 아이일수록 감정을 숨기거나 무표정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해서 "왜 말을 안 해?", "화났으면 화났다고 해!"라고 다그치는 방식은 오히려 아이를 더 닫히게 만든다. 이 글에서는 감정 표현이 어려운 아이의 심리적 특징을 살펴보고, 마음을 열고 표현하게 만드는 5가지 실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감정 표현 어려운 아이, 왜 그런 걸까?

✔️ 감정 인식 자체가 어려운 경우

  • "기분이 어때?"라는 질문에 "모르겠어"라고 대답하는 경우 많음
  • 감정 어휘 부족 → 자기 상태를 설명하지 못함

✔️ 감정을 말하는 건 위험하다고 느끼는 경우

  • 감정을 표현했을 때 부정당한 경험 (예: "그건 울 일이 아니야")
  • 부모가 감정을 억압하거나 무시했을 때 생긴 방어기제

✔️ 지나치게 수치심을 느끼는 경우

  • 감정 표현 = 창피하다고 여김
  • “울면 약해 보인다”는 식의 인식을 갖고 있음

🔹마음을 열게 만드는 5가지 실천 접근법


1️⃣ 감정에 이름 붙여주기

아이가 말하지 않아도, 부모가 먼저 감정의 단어를 제시하면 감정을 인식하는 훈련이 시작된다.
"그건 많이 아쉬웠겠다", "그때 속상했지?"처럼 말해주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아, 이 감정이 그런 거구나’ 하고 스스로 정리할 수 있다.


2️⃣ 공감 먼저, 해결은 나중에

부모는 흔히 아이가 힘들어하면 해결하려 든다.
하지만 감정 표현이 어려운 아이일수록 먼저 감정 자체에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 예시:
❌ “그래서 어떻게 할 건데?”
✅ “그럴 수 있어. 마음이 그럴 땐 참 힘들지.”


3️⃣ 간접 표현 도구 활용하기

말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면, 그림, 표정 카드, 감정 저널 등을 활용해보자.

  • 감정 스티커 붙이기
  • 하루 기분 그리기
  • 좋아요/싫어요 나누기 놀이

→ 표현을 놀이화하면 부담 없이 감정을 드러낼 수 있음


4️⃣ 말보다 행동에 반응하기

아이의 몸짓, 눈빛, 놀이 행동 속에 감정이 담겨 있다.
“표정이 좀 지쳐 보여”, “오늘은 조용하네, 무슨 생각해?”처럼
직접 말하지 않아도 감정을 알아채주는 태도가 아이 마음을 열게 한다.


5️⃣ 감정을 표현해도 괜찮은 환경 만들기

가장 중요한 건, 아이가 감정을 표현해도 안전하다고 느끼는 공간이다.
비판 없이 들어주는 태도, 부모도 자신의 감정을 가끔 공유해주는 솔직함이 아이에게 큰 신뢰를 만든다.

💬 부모가 먼저 해보기:
“엄마도 오늘 기분이 좀 가라앉았어. 그래서 너랑 이야기하고 싶었어.”


🔹감정 표현 어려운 아이의 마음을 읽는 법

신호부모가 취할 수 있는 반응 예시
무표정, 대답 없음 “지금 뭐라고 말해야 할지 잘 모르겠지? 괜찮아, 기다릴게.”
갑작스런 짜증, 투정 “오늘은 뭔가 속상한 일이 있었던 것 같네. 같이 이야기해볼래?”
놀이에 집중하며 말이 없음 “지금 그림 그리는 게 기분 좋구나. 뭐 그리고 있어?”

🔹결론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는 아이는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도와줄 방법이 필요한 아이다.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기다려주고, 먼저 감정 언어를 제시해주며, 표현해도 괜찮은 환경을 만들어줄 때
조용했던 아이는 서서히 자기 마음을 말로 풀 수 있게 된다.
말하지 않아도, 행동과 표정을 통해 보내는 신호에 귀 기울여보자.
그리고 이렇게 말해보자.
“네 마음이 궁금해. 천천히 말해도 괜찮아.”

 

728x90
반응형